본문 바로가기

2023년/ETC💁‍♂️

(10)
[ETC] 윈도우 화면에서 바로 gif 생성하는 툴 https://www.screentogif.com/ ScreenToGif - Record your screen, edit and save as a gif or video Free screen recorder tool. Record, edit and save as a gif or video. www.screentogif.com 기존 윈도우 프로그램으로 녹화 > GIF 생성 툴 활용 윈도우 프로그램 녹화 후 바로 GIF 생성 간단하게 녹화 이후 사용할 수 있어서 ReadME 설명할때 유용할 거 같다.
[SQLD] 정리 요약 및 예상문제 정리본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github] github에서 github actions로 ReadMe.md 자동으로 수정되게 하는 방법 (feat. 백준) github actions 와 python을 통해서 repository안의 readme를 push 할때마다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도록 설계하는 방법 동작과정 소스코드를 깃허브에 push 하게 되면 github actions 에서 변경을 감지하고 python 소스코드를 동작하게 된다. 파이썬으로 repository 각종 디렉토리를 탐색하게되고 조건문에 해당되는 데이터들을 자료구조에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터를 통해 ReadMe를 새로 작성하게 되고 기존 repo에 덮어쓰기된다. 결과화면 코드 설명 전체적인 소스코드는 아래에 남겼으니 그 부분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세부적으로 하나씩 리뷰하겠습니다. gitactions setting 방법 아래 패키지로 생성해도 소스만 바꿔도 무방하다. 파이썬 버전을 다운하고 ..
[Eclipse] git repository 에서 clone 한 프로젝트를 이클립스에서 관리하기! 원격 저장소 프로젝트를 이클립스로 가져와서 관리하는 방법 환경설정 IDE : Ecplise 레포지토리 : git repository 코딩테스트 대비해서 만들어둔 것 이클립스를 시작해서 깃 레포지토리를 가져올 폴더(workspace) 를 설정해 준다. 배너 위쪽 window - Show View - Other 를 클릭해서 깃 레포지토리를 클릭 Clone a Git repository 를 클릭! 깃허브로 들어가서 내가 clone 하고자 하는 레포지토리의 code를 복사해준다. 이클립스에서 clone 하기 위한 기본 정보들을 입력해준다. 깃 레포지토리가 생성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우클릭을 해서 Import Projects 클릭 디렉토리 설정 해서 Finish 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workspace ..
[ETC] 노션(notion) 사용자 글꼴로 변경하여 사용하기! (배달의 민족 글씨체 적용) 노션에서 글꼴을 변경하려고 한다. notion-enhancer 를 사용해서 사용자 정의 글꼴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미리 말하는 단점! 내가 보는 화면에서만 글꼴이 변경되어 나타남, 출력이라던지 웹 공유에서는 변경되지 않는 점 참고 바랍니다! 장점은 확실히 이쁜 글꼴이라 쓰는 맛과 정리되는 느낌이 강함을 받았습니다. STEP 1. notion-enhancer 사이트 접속 https://notion-enhancer.github.io/getting-started/installation/ Installation | notion-enhancer The notion-enhancer works on MacOS, Linux and Windows. It can be used within the desktop app o..
[git] github repository description 추가 또는 바꾸는 방법 뭔가 심심한데, description 추가 및 수정하는 방법 톱니바퀴를 누른다. description에 바꾸거나 추가하고싶은 내용 입력 후 Save changes
요약 간단정리 spring data jpa, jpa, hibernate,orm, jdbc api, jdbc driver, dbms 비유는 정의를 설명하진 못한다. -궤도 안될과학 유튜브 시청하다 이런 멘트를 흘깃 들어서 좋은 말 같아 적어본다. 이 글에서도 이해를 위한 적절한 비유표현법을 사용할 것이며, 완벽한 정의는 아닌점 유의하고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공식문서 참고 필수! 개요 spring boot 로 프로젝트를 하다보니 spring과 관련된 기술을 사용하는데 이게 뭐지 하고 넘어가던 부분들이 많았다. 프로젝트 안에서 repository 라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안에 메소드를 정의 해주는 것만으로 사용할 수 있었는데, 어떻게 이게 가능한 것일까에 대한 생각을 하진 못하고 아 그렇구나 하고 사용했었다. application.yml 안에 버젓이 하이버네이트라고 정의해둔 내용이 있었다. 그럼 하이버네이트는 뭐고..
java spring 프로젝트에서 Builder 패턴을 사용한 이유 객체 생성을 위한 생성자 패턴 정적 메소드 패턴 수정자 패턴 빌더 패턴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생성간 빌더패턴을 왜 선호할까? 프로젝트에서 Builder 패턴을 사용해서 entity 설정을 진행했다! 당시 왜 사용했는지 이유 없이 썻는데, 자세히 알아보자 나는, 생성자로 할때 매개변수(parameter) 변경 간 계속해서 추가해줘야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필요한 데이터만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Builder 를 사용하는 것 같았다. 그리고 Setter 도 함께 써줬는데 아마 엔티티를 수정할 때 필요한 메소드로 생각했는데 크나큰 오류였다. 자료 찾아보니 빌더 패턴의 장점을 찾아 볼 수 있었다. 필요한 데이터만 설정할 수 있음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음 가독성을 높일 수 있음 변경 가능성을 최소화할 ..